맨위로가기

M1 개런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M1 개런드는 미국에서 개발된 가스 작동식 반자동 소총으로, 7.62×63mm .30-06 스프링필드탄을 사용하며 8발들이 클립을 사용한다. 1936년 제식 채택되어 제2차 세계 대전 중 미군의 주력 소총으로 사용되었으며, 한국 전쟁, 베트남 전쟁 등에도 사용되었다. M1 개런드는 엔블록 클립 장전 방식과 가스 작동 방식을 특징으로 하며, 저격 소총 버전도 존재한다. 현재는 대한민국 국군에서 의장용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영화, 게임 등 다양한 대중문화 콘텐츠에도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 전쟁의 미국 보병 무기 - M2 브라우닝
    M2 브라우닝은 존 브라우닝이 설계한 12.7mm 구경의 중기관총으로, 여러 전쟁에서 사용되었으며 항공기, 전차, 군함 등 다양한 플랫폼에 탑재되어 현재까지도 널리 사용된다.
  • 한국 전쟁의 미국 보병 무기 - 톰슨 기관단총
    존 T. 톰슨이 설계한 톰슨 기관단총은 '토미건'이라는 애칭으로도 불리며, 제1차 세계 대전 참호전에서의 사용 목적으로 개발되었으나 종전 후 민간 시장에서 인기를 얻어 갱스터 영화의 상징이 되었고,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연합군에 널리 사용된 다양한 파생형과 변형 모델이 있는 미국의 기관단총이다.
  • 제2차 세계 대전의 반자동 소총 - M1 카빈
    M1 카빈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미군 후방 부대용으로 개발된 반자동 소총으로, 가볍고 다루기 쉬운 특징을 가지며 다양한 파생형이 존재하고 여러 전쟁에서 사용되었다.
  • 제2차 세계 대전의 반자동 소총 - Gew 43
    Gew 43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 독일이 소련의 SVT-40의 영향을 받아 개발, 생산하여 독일군에 보급되었고 일부는 저격총으로도 활용된 반자동 소총이다.
  • 미국의 반자동 소총 - 루거 미니-14
    루거 미니-14는 1973년 스텀, 루거 & 컴퍼니에서 출시된 반자동 소총으로, M14 소총을 축소한 형태이며, 5.56x45mm NATO탄 등 다양한 탄약을 사용하고, 경찰 및 민간 시장에서 널리 사용되었으며, 대중문화에도 등장한다.
  • 미국의 반자동 소총 - SR-25
    SR-25는 AR-10 설계를 기반으로 유진 스타이너가 설계한 7.62x51mm NATO 탄약을 사용하는 반자동 저격소총으로, 높은 정확도와 다양한 파생형, 특수부대 운용으로 알려져 있지만, 볼트액션 저격총 대비 정확도 및 유지보수 문제가 있다.
M1 개런드
개요
스톡홀름의 스웨덴 육군 박물관 소장 M1 개런드 소총
스톡홀름의 스웨덴 육군 박물관 소장 M1 개런드 소총
종류반자동 소총
개발 국가미국
설계자존 C. 개런드
제원
무게9.5 lb (4.3 kg) ~ 11.6 lb (5.3 kg)
길이43.5 in (110 cm)
총열 길이24 in (61 cm)
사용 탄약.30-06 스프링필드
7.62×51mm NATO탄
급탄 방식8발 en bloc 클립, 내부 탄창
작동 방식가스 작동식, 폐쇄 회전 노리쇠
발사 속도분당 40–50발
총구 속도2800 ft/s (850 m/s)
유효 사거리500 yd (460 m)
조준 장치후방: 조절 가능한 조리개
전방: 날개 보호 포스트
생산 정보
설계 년도1928년
생산 기간1934년–1957년
생산 회사스프링필드 조병창
윈체스터
해링턴 & 리처드슨
인터내셔널 하베스터
베레타
브레다
F.M.A.P.
스프링필드 아모리, Inc. (민간용)
매캔 인더스트리 (민간용)
생산 수량5,468,772정
대당 가격약 $85 (제2차 세계 대전 중)
사용 역사
사용 국가자세한 내용은 사용자 참조
참전제2차 세계 대전
중국 국공 내전
인도네시아 독립 전쟁
한국 전쟁
1948년 아랍-이스라엘 전쟁
후크발라합 반란
인도-파키스탄 전쟁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알제리 전쟁
수에즈 위기
제2차 타이완 해협 위기
1958년 레바논 위기
쿠바 혁명
피그스 만 침공
베트남 전쟁
라오스 내전
1964년 에티오피아-소말리아 국경 분쟁
도미니카 내전
6일 전쟁
축구 전쟁
캄보디아 내전
검은 9월
산디니스타 혁명
앙골라 내전
레바논 내전
이란-이라크 전쟁
아프가니스탄 전쟁
제1차 라이베리아 내전
걸프 전쟁
The Troubles
유지 희망 작전
이라크 전쟁
시리아 내전
사용 기간1936–1957 (미국 표준 제식 소총)
기타
변형자세한 내용은 변형 참조

2. 역사

M1 개런드는 1936년 1월 9일 미 육군의 제식 소총으로 채택되었다.[24] 초기 생산은 느렸지만, 제2차 세계 대전과 한국 전쟁을 거치며 대량 생산되었다.


  • 생산량 증가:
  • 스프링필드 병기창: 하루 10정(1937년) → 하루 100정(1939년) → 하루 600정(1941년 1월)[24][30][31]
  • 윈체스터: 6만 5천 정 계약(제2차 세계 대전 중), 1943년부터 납품[24]
  • 인터내셔널 하베스터, 해링턴 & 리처드슨(H&R Firearms): 추가 계약(한국 전쟁 중)
  • 인터내셔널 하베스터: 337,623정 생산 (1953년 ~ 1956년)[34][35]
  • 총 생산량: 약 540만 정 (제2차 세계 대전 중)[32]


초기 M1 개런드는 가스 트랩 방식을 채택했으나, 구조 및 작동 신뢰성 문제(특히 '7발째 탄 걸림')가 있었다. 1939년 가스 트랩 방식은 폐지되었고, 1940년부터 개선된 가스 포트 방식 모델이 생산되었다. 가스 포트는 총열 강선부 끝에 설치하여 총열 가공 문제를 최소화했다.[131] 그 외 개머리판 내부 청소 도구 수납 공간, 작동봉 형상 변경 등의 개량이 있었다.[131]

2. 1. 개발 배경

1909년 미국 육군 무기과는 자동소총 개발에 착수하여 스프링필드 병기창에 설계 요건을 수립하도록 지시했다. 이후 제1차 세계 대전의 전훈을 통해 자동 화기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미 육군은 반자동 소총 개발에 주목하게 되었다.[129]

당시 군의 요구는 자동 장전식, .25~.30구경 군용 탄약( .30-06탄 권장) 사용, 단순하고 견고한 구조, 뛰어난 생산성이었다.[130]

존 캐런드는 1919년부터 스프링필드 병기창에서 반자동 소총 설계에 참여했다. 초기에는 프라이머 작동 방식이 사용되었으나, 이후 가스 작동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1924년 시험에서 T1921이 유력 후보로 떠올랐고, 이후 T1924가 설계되었다.

육군은 을 사용하는 피더슨 자동소총과 캐런드의 자동소총을 비교 시험했다. 캐런드 T3는 생산성, 부품 호환성, 윤활유 불필요, 엔블록 클립 장전 용이성 등에서 우수하여 최종 선정되었다.

.276구경 캐런드 소총은 T3E2로 개량되었으나,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은 .30-06탄 재고 문제로 .276탄 채택을 보류했다. 이에 T1E1, T1E2를 거쳐 1936년 M1 개런드가 제식 채택되었다.[129]

2. 2. 제식 채용 및 생산

1936년 1월 9일, M1 개런드는 미 육군의 제식 소총으로 채택되었다.[24] 초기 생산은 더뎠는데, 1937년 9월까지 육군에 인도가 지연되었다. 스프링필드 병기창에서 하루 10정의 생산으로 시작되었고,[30] 2년 안에 하루 100정의 생산량에 도달했다. 1940년 초에는 생산량이 증가하여,[31] 1941년 1월 10일에는 하루 600정에 도달했다.[24]

미 육군 장성에게 M1 개런드를 설명하는 존 캐런드(왼쪽)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이후, 윈체스터는 6만 5천 정의 소총에 대한 생산 계약을 수주했고,[24] 1943년부터 납품을 시작했다.[24] M1 개런드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대량으로 생산되었으며, 약 540만 정이 제조되었다.[32]

한국 전쟁 참전 당시, 미국 국방부는 더 많은 M1 개런드가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스프링필드 무기고는 생산량을 늘렸지만, 인터내셔널 하베스터와 해링턴 & 리처드슨(H&R Firearms) 두 회사와 추가 계약을 체결했다. 1953년부터 1956년까지 인터내셔널 하베스터는 총 337,623정의 M1 개런드를 생산했다.[34][35] 1957년 초, 스프링필드 무기고에서 기존 부품을 사용하여 마지막으로 소량의 M1 개런드를 생산했다.

2. 3. 개량

M1 개런드의 초기 설계는 가스 트랩 방식을 채택했다. 이 방식은 총구 끝에 슬리브 형태의 머즐 플러그를 설치하고, 총구에서 분출되는 가스를 가스 실린더로 흡입하는 방식이었다. 이는 낮은 압력의 가스로 작동이 가능하여 기관부에 대한 부하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고, 총열 강선부에 가스 포트를 직접 가공할 필요가 없어 총열의 정밀도와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몇 가지 문제점을 드러냈다.

M1 개런드 특허도 발췌. 오른쪽이 신형, 왼쪽이 구형 가스 시스템. 신형에서도 가스 포트는 강선부 끝에 설치되어 있어, 총열 중간에 가로 구멍을 가공하는 것을 피하고 있다.

  • 구조적 문제: 가스 실린더부가 총열과 일체화되지 않아 총검 장착 시 강도 문제가 있었고, 조준기가 좌우로 어긋나는 경우가 발생했다. 또한, 머즐 플러그 위치가 어긋나면 발사된 탄환이 머즐 플러그 후면에 충돌할 위험이 있었다.
  • 작동 신뢰성 문제: 총구와 머즐 플러그 사이 청소가 어렵고, 머즐 플러그 내강에 그을음이 축적되기 쉬워 작동 불량을 일으킬 수 있었다.
  • 7번째 탄 걸림: '7발째의 탄걸림'(seventh-round stoppage) 문제가 자주 발생했는데, 이는 양산 과정에서 부품 변경으로 인해 발생한 문제였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1939년 10월 26일, 무기성은 가스 트랩 방식의 폐지를 요구했고, 1940년 가을부터 개선된 모델이 생산되기 시작했다. 개선된 모델은 가스 포트 방식으로 변경되었으며, 총열 중간에 구멍을 뚫는 대신 강선부 끝에 가스 포트를 설치하여 총열 가공에 따른 문제를 최소화했다.[131]

그 외에도 다음과 같은 개량이 이루어졌다.

  • 1940년 후반, 개머리판 내부에 청소 도구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었다.
  • 작동봉(오퍼레이션 로드)의 형상이 변경되었다.[131]


초기형 M1 개런드 소총도 정기적인 정비(오버홀)를 통해 이러한 개량 사항들이 적용되었다.[131]

3. 특징

M1 소총은 7.62×63mm 나토탄(.30-06 스프링필드)을 사용하는 가스 작동 방식의 반자동 소총이다.[38] 길이 약 약 110.74cm, 무게 약 약 4.31kg이다.[39] 안전장치는 방아쇠울 앞쪽에 있어 손가락으로 조작이 쉽다.[40] M1 개런드는 현장 정비를 쉽게 하기 위해 간단하게 분해 및 조립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41]

철제 조준기는 견고한 "귀"로 보호되는 후방 수신기 조준경과 날개 보호대가 있는 전방 포스트로 구성된다. 후방 조준경은 약 91.44m 간격으로 약 91.44m 에서 약 1097.28m 단위로 눈금이 매겨져 있으며, 탄착점 보정은 거리 조절 손잡이와 고저 조절 피니언으로 미세 조정할 수 있다. 풍향 조절 손잡이로 약 1 MOA 간격으로 조준점을 이동시켜 풍향 편차를 보정할 수 있다.[39]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M1 소총의 반자동 작동 방식은 미군 보병에게 화력과 사격 간 회복 시간 면에서 큰 이점을 제공했다. 반자동 작동과 감소된 반동 덕분에 병사들은 자세와 조준점을 유지한 채 8발을 빠르게 발사할 수 있었다.[42] 숙련된 병사는 약 274.32m 거리에서 분당 40~50발의 정확한 사격을 할 수 있었다. 약 457.20m가 넘는 거리에서는 명중률이 떨어져 최대 유효 사거리는 약 457.20m로 간주된다.[39]

M1 개런드는 초기에 가스 트랩 방식이라는 복잡한 가스 시스템을 사용했지만, 1940년 중반에 더 간단한 가스 포트 방식으로 변경되었다.[38] 가스 트랩 방식은 여러 결함으로 인해 1939년 10월 26일 폐지되었다.[131] 두 시스템 모두 발사된 탄피에서 나오는 팽창된 가스가 가스 실린더로 보내져 작동 손잡이에 연결된 롱 스트로크 피스톤을 밀어내는 방식이다. 작동 손잡이는 회전 볼트를 작동시켜 탄피 배출과 재장전을 수행한다. M1 개런드는 가스 튜브에 스테인리스강을 사용하여 부식을 방지했다.[47]

3. 1. 엔블록 클립

M1 소총은 8발의 .30-06 스프링필드탄을 수납하는 양면 사용이 가능한 일체형 탄창(엔블록 클립)으로 공급된다. 마지막 탄약이 발사되면 소총은 탄창을 배출하고 볼트를 열린 상태로 고정한다.[43] 그러면 M1 소총은 재장전 준비가 된다. 탄창을 삽입하면 엄지손가락으로 탄창 상단 탄약을 누르는 압력이 해제되는 순간 볼트가 스스로 앞으로 튀어나와 탄약을 장전하고 발사 준비를 완료한다.[44][45]

클립 장전 모습


M1 개런드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엔블록 클립(en bloc clip) 장전 방식이다. 이는 8발의 소총 탄약을 삽탄기(클립)에 장전해 놓고, 총의 볼트를 열어 상부에서 클립째 삽입하여 장전하는 방식이다. 발사가 끝나면 마지막 탄피 배출과 동시에 클립도 배출되고, 볼트가 후퇴 위치에서 멈춰 홀드 오픈 상태가 된다. 분리식 탄창의 경우 빈 탄창을 제거하는 조작이 필요한 데 반해, 이 시스템은 그럴 필요가 없어 즉시 장전 작업으로 넘어갈 수 있다. 총 자체의 장탄 수는 8발로 적지만, 재장전에 걸리는 시간 자체는 분리식 탄창보다 간단하고 빠른 시스템이기도 했다.

존 개런드는 탄창을 포함하여 위에서 탄약을 고정된 탄창에 삽입할 수 있는 일체형 탄창 시스템을 개발했다. 이 설계는 필요한 플러시 마운트 탄창을 제공했지만, 탄창 시스템으로 인해 소총의 무게와 복잡성이 증가했고 탄창 없이 단일 장전 탄약만 가능하게 되었다.

일부 사용된 탄창이나 완전히 장전된 탄창은 탄창 걸쇠 버튼을 이용하여 소총에서 쉽게 배출할 수 있다.[40] 탄창이 탄창함에 있는 상태에서 부분적으로 장전된 탄창에 탄약을 개별적으로 장전할 수 있지만, 이는 양손을 사용해야 하고 약간의 연습이 필요하다. 실제로 이러한 절차는 전투에서 거의 수행되지 않았는데, 탄약과 함께 이물질이 작동부 내부로 들어갈 위험이 오작동 가능성을 높였기 때문이다. 대신, 탄창을 수동으로 배출하고 새 탄창을 삽입하는 것이 훨씬 쉽고 빠르다.[46][47][49]

볼트를 후방으로 고정하기 위한 독립적인 기구가 없기 때문에 사격 도중에 탄약을 한 발씩 추가 장전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볼트를 손으로 후방으로 고정하면서 탄약을 추가 장전하는 것은 불가능하지는 않지만, 이를 위해서는 양손 조작이 필요하고, 사격 재개까지 시간이 걸리거나 기구부의 이물질 장애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추가 장전은 실제로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쏘지 않은 탄창 내의 클립을 꺼내는 릴리스 버튼도 볼트를 당긴 상태에서 조작해야 하므로 역시 양손 조작이 필요했다.

빈 탄창 배출은 독특한 금속성 "덜컹" 소리를 냈다.[48]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군과 일본군 보병이 이 소리를 이용하여 미군 적의 무장해제된 소총을 포착하기 위해 전투 중 빈 M1 소총을 알리는 데 사용했다는 소문이 있었다. 하지만 실제로 이 소리가 원인이 되어 사망자가 발생했다는 기록은 남아 있지 않다.[132]

3. 2. 가스 시스템

M1 개런드의 초기 디자인에는 가스 트랩 방식이라 불리는 복잡한 가스 시스템이 사용되었으나, 1940년 중반에 더 간단한 가스 포트 방식으로 변경되었다.[38] 가스 트랩 방식은 총구 끝에 슬리브 형태의 머즐 플러그를 설치하고, 총구에서 분출된 가스를 가스 실린더로 흡입하는 방식이었다. 이 방식은 낮은 압력의 가스로 작동될 수 있어 기관부에 대한 부하를 줄일 수 있고, 총열의 강선부에 가스 포트를 직접 가공할 필요가 없어 총열의 정밀도와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그러나 구조상 총검 장착 시 강도 문제, 조준기 좌우 어긋남, 머즐 플러그 위치 어긋남으로 인한 탄환 충돌, 청소의 어려움, 그을음 축적, "7발째의 탄걸림" 문제 등 여러 결함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1939년 10월 26일, 가스 트랩 방식은 폐지되었고, 1940년 가을부터 개선된 모델이 출하되었다.[131]

두 시스템 모두 발사된 탄피에서 나오는 팽창된 가스가 가스 실린더로 보내진다. 가스는 작동 손잡이에 연결된 롱 스트로크 피스톤을 만나고, 고압 가스의 힘으로 피스톤이 뒤로 밀린다. 작동 손잡이는 회전 볼트를 수신기 내부에서 작동시킨다. 볼트는 두 개의 잠금 돌기로 수신기에 고정되며, 소총이 발사될 때 회전하여 잠금이 해제되고 사용한 탄피 배출과 재장전이 시작된다. 작동 손잡이와 볼트는 원래 위치로 돌아온다.

M1 개런드는 가스 튜브에 스테인리스강을 사용하여 부식을 방지했다. 스테인리스 금속은 파커라이징 처리가 불가능하여 가스 튜브에는 스토브 블랙 처리가 되었는데, 이는 사용 중 자주 마모되었다. 가스 튜브를 빠르게 다시 칠하지 않으면, 반짝이는 총구 때문에 M1 개런드와 사용자의 위치가 전투 중 적에게 더 잘 보일 수 있었다.[47]

4. 운용

M1 개런드 소총에는 여러 가지 부속품이 사용되었다. M1905(16인치(406mm) 칼날), M1(10인치(254mm) 칼날), M5(6.75인치(171mm) 칼날) 등 여러 종류의 총검을 장착할 수 있었다.[53][54] M7 수류탄 발사기는 총열 끝에 쉽게 부착할 수 있었고, M15 조준기를 사용하여 조준했으며, 조준기는 개머리판 왼쪽, 방아쇠 앞쪽에 나사로 부착되었다.

야전에서는 개머리판의 두 개의 원통형 공간에 청소 도구, 기름통, 그리스 용기를 보관했다.

제2차 세계 대전까지는 M1907 2피스 가죽 소총 멜빵이 가장 흔하게 사용되었으나, 1942년에 더 저렴하고 조절 가능한 올리브 드랍색 캔버스 멜빵이 도입되어 점차 대체되었다.[55]

한국 전쟁 중에는 "겨울 방아쇠"가 개발되었다.[56] 이것은 방아쇠 보호대에 설치된 작은 장치로, 병사가 보호대 뒤의 레버를 눌러 원격으로 방아쇠를 당길 수 있게 해주어, 겨울 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도 사격할 수 있도록 했다.[56]

4. 1. 제2차 세계 대전

M1 개런드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대량으로 생산되어 약 540만 정이 제조되었다.[32] 미군의 모든 병과에서 사용되었고, 일반적으로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조지 S. 패튼 장군은 이를 "지금까지 고안된 가장 위대한 전투 장비"라고 불렀다.[17] 당시 미군 병사의 일반적인 적은 볼트액션 소총(예: 독일의 카라비너 98k, 이탈리아의 카르카노 M1891, 일본의 38식 또는 99식 아리사카 소총)으로 무장하고 있었다. 더 빠른 발사 속도를 가진 보병 소화기의 효과는 연합군과 추축국 모두 당시 생산 중인 반자동 및 완전자동 화기를 대량으로 증가시키고 새로운 유형의 보병 화기를 개발하도록 자극했다.[33]

최초의 실전 투입은 1941년 12월에 시작된 필리핀 전투였다. 하지만 대부분의 미군과 필리핀군은 M1903 소총을 지급받았다. 1942년 8월에 시작된 과달카날 전투에서는 최초로 상륙한 해병대는 여전히 M1903 소총을 사용했지만, 2개월 후인 10월에 상륙한 육군 부대에는 M1 개런드가 배치되었다. 1942년 11월 북아프리카 침공(횃불 작전)에 참가한 육군 부대에도 사용되었다.[134] 유럽 전선에서는 1942년 8월 디에프 전투에 참가한 육군 레인저 부대가 처음으로 사용했다.[135]

렌드리스법 등에 따라 미국과 함께 싸운 연합국에도 M1 개런드가 공급되었다. 1941년 3월 27일에는 영국에 대한 공급이 결정되었고, 1942년 6월까지 38,001정의 M1 개런드가 잉글랜드로 보내졌다. 이들 M1 개런드에는 영국군에서 비표준 장비를 의미하는 붉은색 띠 모양의 도색이 되어 있었고, 개머리판 등에도 각인이 되어 있었다. 하지만, 동시기에 독일군의 영국 본토 침공이 실패하면서 긴급한 배치의 필요성이 줄어들었기 때문에, M1 개런드는 일부가 홈 가드나 공군의 기지 경비대에 배치되는 데 그쳤고, 대부분은 배치되지 않은 채 미국으로 되돌아갔다.[136] 1945년 말까지 스프링필드와 윈체스터에서 4,000,000정 이상의 M1 개런드가 제조되었다.[133]

4. 2. 한국 전쟁

한국 전쟁 당시 대한민국 국군은 창설 초기 미군에게서 M1903 스프링필드 소총과 함께 M1 개런드를 공여받아 주력 소총으로 사용하였다.[35] 전쟁 초기에는 두 소총이 혼용되었으나, 점차 M1 개런드로 대체되었다.

미국 M5 총검과 M8 칼집


한국 전쟁 발발로 인해 미군의 비축분 장비가 부족해지자 1951년부터 M1 개런드의 재생산이 시작되었다.[137] 스프링필드 조병창 외에도 및 에서도 생산이 이루어졌다.[133] 이 시기에 생산된 M1 개런드는 대한민국에도 다수 공여되었다.

한국 전쟁 이후에도 M1 개런드는 국군의 예비군용 소총 및 의장용 소총으로 오랫동안 사용되었다.

4. 3. 베트남 전쟁

1958년에 M14 소총이 공식적으로 채택되었음에도 불구하고, 1965년이 되어서야 육군의 현역 부대에서 M1 개런드에서 M14 소총으로의 교체가 완료되었다.[36]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도입되어 한국 전쟁과 베트남 전쟁에서 사용된 저격소총 변형은 예외). M1 개런드는 1970년대 초까지 미국 육군 예비군, 주방위군, 해군에서 계속 사용되었다.[36] 대한민국 국군은 1966년까지도 베트남 전쟁에서 M1 개런드를 사용했다.[36]

4. 4. 기타 분쟁

미국 군사 원조의 광범위한 보급과 M1 개런드의 내구성 덕분에, 이라크아프가니스탄 등 최근 분쟁에서도 사용된 것이 확인되었다.[36]

5. 파생형

M1 개런드는 다양한 파생형이 존재한다. 미군 제식 명칭과 그에 대한 설명은 아래 표와 같다.

미군 제식명미 해군 제식명설명
T1시제품
T1E11931년 시험에서 볼트가 파손된 단일 시험 소총
T1E2가스 트랩 개런드의 시험 명칭. 새로운 볼트가 장착된 T1E1.
M1기본 모델. T1E2와 동일. 가스 포트 변경이 명칭 변경으로 이어지지는 않았다.
M1E1작동대의 캠 각도 수정
M1E2조준경과 마운트 장착
M1E3볼트의 캠 돌출부에 롤러 추가 (이후 M14에 적용)
M1E4작동대에 통합된 피스톤이 있는 가스 차단 및 팽창 시스템
M1E5약 45.72cm 배럴, 권총 손잡이 및 접이식 개머리판, 공수부대용
M1E6저격수용 변형
M1E7/M1CM1E6 개런드 변형; 2.2배 배율 M73 조준경(M81로 개조, M82 또는 M84 조준경 사용 가능)이 그리핀 & 하우 마운트에 장착[60]
M1E8/M1DM1E7 개런드 변형; M82 조준경(M84 조준경도 사용 가능)이 스프링필드 무기고 마운트에 장착[60]
M1E9작동대에서 분리된 피스톤이 있는 M1E4와 유사
M1E10융만 직접 가스 시스템 장착
M1E11쇼트 스트로크 태핏 가스 시스템
M1E12가스 포트가 약 약 15.24cm 뒤로 이동
M1E13"화이트" 가스 차단 및 팽창 시스템
M1E14Mk 2 Mod 07.62×51mm NATO로 재장전됨. 압입식 약실 인서트, 확장된 가스 포트 및 7.62mm 배럴 부싱
T20존 개런드의 선택 사격 변환, BAR 탄창 사용 가능
T20E1자체 유형의 탄창 사용
T20E2E2 탄창은 BAR에서 작동, 그 반대는 불가
T20E2HBHBAR(헤비 배럴) 변형
T22레밍턴의 완전 자동 선택 사격 변환, 탄창 공급식
T22E1개선된 탄창 해제 및 볼트 고정 장치
T22E2개선된 방아쇠 그룹, 가스 실린더, 머즐 브레이크 및 양각대
T22E3HB위쪽으로 각진 개머리판; 헤비 배럴; T27 사격 통제 장치 사용
T23T22E3HB와 같은 위쪽으로 각진 개머리판; 표준 클립 공급식.
T25권총 손잡이, 위쪽으로 각진 개머리판, T65 .30 경소총 탄약(7.62×49mm) 사용.[61]
T26약 45.72cm 배럴과 표준 개머리판
PWB 소총약 45.72cm 배럴, 표준 개머리판, M1903 배럴 밴드로 고정된 단축된 전방 손잡이. 태평양 전쟁 위원회 요청으로 150정 제작[58]
T27레밍턴 M1 개런드용 선택 사격 현장 변환
T31실험용 불펍 변형
T35Mk 2 Mod 17.62×51mm NATO로 재장전됨
T36T20E2 변형; T35 배럴과 T25 탄창을 사용하여 7.62×51mm NATO로 재장전됨
T37T36과 동일, 가스 포트 위치 다름
T44긴축 예산으로 개발된 기존 설계.[61]
T47T25와 동일, 기존 개머리판 사용, 7.62×51mm NATO로 장전.[61]



M14 소총은 M1 개런드를 기반으로 개량되었으며, 베레타 BM59는 이탈리아에서 M1 개런드를 개조하여 개발한 자동소총이다. 일본은 M1 개런드를 복제하여 4식 소총을 개발했다.

5. 1. 저격소총

조준경 장착을 위해 개조된 M1C(이전 명칭 M1E7)와 M1D(이전 명칭 M1E8) 두 가지 버전이 생산되었다.[57] 1944년 6월, M1C는 M1903A4를 보완하기 위해 미국 육군의 표준 저격소총으로 채택되었다.[60] M1C는 한국 전쟁 중에 널리 사용되었다. 미 해병대는 1951년 M1C를 공식 저격소총으로 채택했다. 미 해병대 1952년형 저격소총 또는 MC52는 콜모건 광학 회사가 제작한 4배율 조준경이 장착된 M1C였다.[60] MC52는 베트남 전쟁 중 볼트액션 소총으로 교체될 때까지 해병대에서 사용되었다.[60]

M1C(M84 조준경 장착)


M1D(M84 조준경, T37 소염기 장착)

5. 2. 단축형 (Tanker)

M1E5와 T26은 M1 개런드의 단축형 모델로, 전차병을 위한 "탱커(Tanker)"라는 별칭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공수부대원이나 정글에서 싸우는 병사들의 요구에 따라 설계되었다.[58]

1944년 1월, 스프링필드 병기창에서 M1E5 개발이 시작되었다. M1E5는 약 45.72cm 짧은 총열과 접이식 개머리판을 갖추고 있었다.[58] 시험 결과, 반동과 총구 화염(muzzle blast)이 과도하다는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결국 다른 프로젝트에 우선순위가 밀려 M1E5 개발은 중단되었다.[58]

같은 해 말, 태평양 전쟁 위원회(PWB)는 독자적으로 단축형 M1 소총 개발을 진행했다. PWB는 필리핀에 있는 제6군 군수 부대에 150정의 소총 제작을 지시했다. 이 소총들은 현장 테스트를 거쳤지만, 총구 화염이 너무 커서 "전투 무기로 부적합"하다는 평가를 받았다.[58]

스프링필드 병기창은 PWB 소총을 바탕으로 T26을 제작했다. T26은 표준 개머리판을 사용했다는 점을 제외하면 M1E5와 유사했다. 1945년 7월, T26은 테스트를 거쳤지만, M1E5와 마찬가지로 총구 화염, 폭발, 반동 문제가 해결되지 않아 "전투 무기로 부적합"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수 부대용으로 15,000정의 단축형 M1 소총이 요청되었으나, 일본의 항복으로 인해 생산은 취소되었다.[58]

"탱커"라는 명칭은 전쟁 후 민간 시장에서 판매된 단축형 M1 개런드에 붙여진 이름이다.[58] 1960년대 초, 일부 민간 사업자가 군용 잉여 부품을 활용하여 M1 개런드 복원총을 판매하기 시작했다. 로버트 E. 페니 주니어는 단축형 모델을 "탱커 개런드"라고 명명하여 판매했다. 이는 민간인에게 M1 개런드 입수가 어려웠던 당시 상황에서 큰 인기를 끌었다.[141]

5. 3. 기타 파생형

T20E2는 20발들이 브라우닝 자동소총(BAR) 탄창을 사용하도록 개조된 실험적인 가스 작동식 선택사격 소총이다.[61] 이 소총은 수신기 왼쪽에 조준경 마운트를 위한 가공 및 나사산이 있었고, M1과 같은 수류탄 발사기 장착 하드웨어가 포함되어 있었다. 자동 사격 시 발사 속도는 분당 700발이었다.[61]

T20E2 선택사격 원형 소총은 20발들이 BAR 탄창을 사용하도록 설계되었다.


미군 제식명설명
T20존 개런드의 선택 사격 변환, BAR 탄창 사용 가능
T20E1자체 유형의 탄창 사용
T20E2E2 탄창은 BAR에서 작동하지만 그 반대는 아님
T20E2HBHBAR(헤비 배럴) 변형



M14 소총(미국 7.62mm M14 소총)은 7.62×51mm NATO(.308 윈체스터)탄을 사용하는 미국의 선택사격 방식 자동소총이다.[66] M14 소총은 기본적으로 20발들이 탄창을 장착한 개량된 선택사격 방식 M1 개런드이다.[67][68]

M14 소총


베레타 BM59


BM59는 기본적으로 탈착식 20발들이 탄창, 접이식 양각대, 그리고 플래시 서프레서와 수류탄 발사기를 결합한 장치가 장착된 7.62×51mm NATO 탄을 사용하도록 개조된 M1 개런드이다. BM59는 선택 사격이 가능하며, 인도네시아에서 SP-1 시리즈로 라이선스 생산되었다.

일본식 4식 소총


4식 소총(일본어: 四式自動小銃 ''Yon-shiki jidousyoujyuu'')은 일본의 시제 반자동 소총이다.[64] 미국의 M1 개런드를 복제한 것으로, 일체형 10발 탄창을 사용하며 일본군의 7.7×58mm 아리스카탄을 사용한다.[65]

6. 발음

M1 개런드의 발음에 대해서는 자료마다 의견이 다르다. 줄리안 해처 장군의 저서 《개런드의 책》과 같이 일부 자료에서는 존 개런드의 성과 같은 /ˈɡærənd/(GARRənd)로 제시한다.[20] 그러나 미국 국방부가 발행한 정기 간행물인 《무장 세력 토크》에서는 /ɡəˈrænd/(gəRAND)로 발음을 제시하며, "일반적인 용법에서는 두 번째 음절에 악센트를 두어 '거-RAND'로 발음하게 되었다"고 언급한다.[21] 《아메리칸 라이플맨》 잡지는 미국 군인들이 선호하는 발음으로 /ɡəˈrænd/(gəRAND)를 인정하면서도 두 발음 모두 유효하다고 간주했다.[22]

7. 한국에서의 운용 및 영향

1947년 이전에 한국 경찰에 M1 개런드가 제공되었고, 1948년에는 한국 경비대에 제공되었다.[35] 한국 전쟁 발발 전, 미군으로부터 4만 정 이상의 M1 개런드가 대한민국 국군에 이전되었다. 한국전쟁 기간 동안 미국은 47만 정 이상의 M1 개런드를 추가로 제공하여,[35] 대한민국 국군의 주력 소총으로 활용되었다.

M1 개런드는 베트남 전쟁 초기까지 사용되었으며, 이후 M16A1 소총으로 교체되었다.[36] 퇴역 후, 상당수의 M1 개런드가 미국에 재판매되기도 했다. 현재는 대한민국 국군에서 의장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M1 개런드는 한국군의 현대화와 전투력 강화에 크게 기여했으며, 한국 전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8. 대중 문화

M1 개런드는 영화, 드라마, 게임 등 다양한 매체에 등장한다.

M1 개런드 소총으로 사격 연습을 하는 민간인


M1 개런드 소총으로 사격 연습을 하는 여성

8. 1. 영화 및 드라마

포화 속으로, 고지전, 태극기 휘날리며, 전우 등 한국 전쟁을 배경으로 한 영화에서 한국군 또는 학도병이 M1 개런드를 사용한다.[69]

8. 2. 게임

9. 사용자

M1 개런드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대량으로 생산되어 미군의 모든 병과에서 사용되었으며, 일반적으로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조지 S. 패튼 장군은 "지금까지 고안된 가장 위대한 전투 장비"라고 평가했다.[17] 당시 미군의 적들은 주로 카라비너 98k, 카르카노 M1891, 38식 또는 99식 소총과 같이 발사 속도가 느린 볼트액션 소총으로 무장하고 있었다. M1 개런드의 빠른 발사 속도는 연합군과 추축국 모두에게 영향을 주어 반자동 및 완전자동 화기 생산을 늘리고 새로운 유형의 보병 화기를 개발하도록 자극했다.[33]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많은 M1 개런드가 수리되거나 재생산되었다. 한국 전쟁 당시 미국 국방부는 더 많은 M1 개런드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스프링필드 조병창은 생산량을 늘렸고, 인터내셔널 하베스터와 해링턴 & 리처드슨(H&R Firearms)과도 계약을 체결하여 1953년부터 1956년까지 생산했다.[34][35] 베레타도 윈체스터의 공구를 사용하여 개런드를 생산했다.

영국 육군은 1939년에 M1 개런드를 리-엔필드 No.1 Mk. III를 대체할 소총으로 검토했지만, 이미 리-엔필드 No. 4 Mk 1의 생산을 준비하고 있었기 때문에 채택하지 않았다. 잉여 M1 소총은 대한민국, 서독, 이탈리아, 일본, 덴마크, 그리스, 터키, 이란, 남베트남, 필리핀 등 미국의 동맹국에 대한 외국 원조로 제공되었다.[35]

베트남 전쟁에서 미군은 1963년 일부 M1 개런드를 사용했고, 1958년 M14 소총이 공식 채택되었음에도 1965년이 되어서야 육군 현역 부대에서 M14로 교체가 완료되었다. M1 개런드는 1970년대 초까지 미국 육군 예비군, 주방위군, 해군에서 계속 사용되었다. 대한민국 국군은 1966년까지도 베트남 전쟁에서 M1 개런드를 사용했다.[36]

미국 해병대 무성 의장대, 미국 공군사관학교 생도 명예 근위대, 미국 공군 보조단(Civil Air Patrol), 거의 모든 ROTC(Reserve Officer Training Corps)와 일부 JROTC(Junior Reserve Officer Training Corps) 팀 등 일부 군 의장대는 여전히 M1 소총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노르웨이 국왕 근위대(Hans Majestet Kongens Garde)의 의장대에서도 사용된다.[37]

특정 자격 요건을 충족하는 미국 시민들은 민간 사격 훈련 프로그램(Civilian Marksmanship Program, CMP)을 통해 미군의 잉여 M1 소총을 구매할 수 있다.[72] 2009년, 대한민국 정부가 87,000정의 M1 소총을 포함한 약 850,000정의 화기를 미국에 수출하여 민간인에게 판매하려는 계획이 버락 오바마 행정부에 의해 초기에는 승인되었으나, 2010년 3월 판매가 중단되었다.[73] 그러나 2012년 1월, 미국과 한국은 87,000정의 M1 개런드 소총 판매에 합의하였고, 한국 정부는 미국 민간 무기상들과 논의를 시작했다.[74] 2018년, CMP는 필리핀으로부터 90,000정 이상의 M1 개런드 소총을 수입받았다고 보고했으며, 이들 중 많은 소총을 민간 판매를 위해 수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75]

1950년대 오스트리아 군대의 M1 개런드 훈련


M1 개런드를 들고 있는 그리스 대통령 경호대(Presidential Guard) 에브조니(Evzones) 대원들, 그리스 국회 앞


일본 방위대학교 명예 경비대 훈련팀


ROC 명예 경비대 병사와 그의 M1 개런드


아니트카비르 묘소에서 M1 소총을 들고 경비를 서는 터키 군인

9. 1. 현재 운용 중

아이티는 다양한 출처에서 수천 정의 M1 개런드를 구매하고 미국으로부터 원조받았다.[80][81] 노르웨이는 1964년 이전에 미국 정부로부터 M1 소총 72,800정을 받았다.[82] 필리핀은 1950년부터 1975년까지 미국 정부로부터 M1 소총 34,300정과 M1D 소총 2,630정을 받았으며, 필리핀 해병대에서 퇴역 후 시민무장군 지리부대에서 사용되었다.[83][84][85] 2017년, 필리핀 정부가 86,000정의 소총을 미국 시민 사격술 프로그램에 보낼 것이라는 보도가 있었다.[86]

9. 1. 1. 의장용으로만 사용

벨기에[87], 그리스[82], 일본[88], 중화민국[90], 대한민국[94][95][96][97], 터키[101][102][103], 미국 등에서 M1 개런드가 의장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리스에서는 대통령 경호대와 국방부 의장대에서 사용 중이다.[82] 일본 자위대에서도 의장용 무기로 사용되었으나,[88] 2018년에 신형 의장총으로 대체되었다.[145] 중화민국 국군[90] 대한민국 국군에서도[94][95][96][97] 의장용으로 운용 중이다. 터키군 역시 M1 개런드를 의장용 무기로 사용하고 있다.[101][102][103] 미군의 경우 공식 군 의식, ROTC 부대, 민간항공순찰대에서 사용하며, 미국 해병대 무성 의장대의 표준 소총으로도 남아있다.

9. 2. 과거 운용 국가

국가사용 내용
벨기에벨기에 경찰의 의장용 소총으로 사용.[87]
그리스1975년 이전에 미국 정부로부터 M1 소총 186,090정과 M1C/M1D 소총 1880정을 받음.[82] 현재 대통령 경호대와 국방부 의장대에서 의장용으로 사용 중.
일본일본 자위대에 호와 64식 소총이 채택될 때까지 사용. 현재도 자위대에서 의장용 무기로 사용.[88]
중화민국냉전 중 중화민국 국군을 지원.[89] 현재도 국군에서 의장용 무기로 사용.[90]
대한민국1947년 이전에 한국 경찰에, 1948년 2월 한국 경비대에 제공됨. 1948년 8월부터 1949년 6월까지 국군에 M1 소총 41,897정이 이전됨. 한국 전쟁 이전 국군에는 M1 소총 40,378정이 장비. 전쟁 중 미국은 추가로 471,839정의 소총을 제공, 육군 운용 수량은 1950년 12월 152,328정, 1951년 12월 189,704정, 1952년 12월 221,079정, 1953년 7월 27일 266,633정에 이름.[91][92][93] 베트남 전쟁 초기에는 1966년 소량의 XM16E1 소총과 1968년 대부분 M16A1 소총으로 교체될 때까지 사용. M1 소총은 라이선스 생산된 M16A1 소총으로 교체되어 1978년 현역에서 제퇴. 많은 소총이 민간용으로 미국에 되팔렸는데, 1986년부터 1989년까지 Blue Sky를 통해 10만 정, 1991년부터 1993년까지 Century Arms를 통해 8만 5천 정이 되팔림.[94][95][96][97] 현재 의장용으로 사용.
터키1953년부터 1970년까지 미국 정부로부터 M1 소총 312,430정을 받음.[82] 한국 전쟁[98]과 1974년 키프로스 쿠데타 및 터키의 키프로스 침공에 참전.[99][100] 현재 터키군에서 의장용 무기로 사용.[101][102][103]
미국1936년부터 1957년까지 미국 육군 및 해병대 보병의 표준 소총. 1970년대에는 예비 및 후방 부대에서 사용됨. 현재 공식 군 의식, ROTC 부대 및 민간항공순찰대에서 사용. 미국 해병대 무성 의장대의 표준 소총으로도 사용.
베트남 공화국베트남 공화국군에서 사용. 사이공 함락 후, 남베트남 및 베트남 민주 공화국(북베트남)에 의해 접수되어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통일 베트남)으로 계승. 대부분의 M1은 금속 스크랩으로 해외에 수출되었지만, 일부는 자국군에 남아 2019년 시점에서도 자위민병(Dân quân tự vệ|당 꾸언 뜨 베vi)에 배치 확인.[146]
오스트리아오스트리아 연방군에서 사용.
서독독일 연방군에서 사용.
이탈리아전후 이탈리아군에서 사용. M1을 원형으로 개발된 국산 소총 BM59로 교체.
소비에트 연방소비에트 연방군이 제2차 세계 대전 중 미군의 무기 지원으로 입수.


9. 3. 비국가 행위자

참조

[1] 웹사이트 Springfield Armory: The best battle implement ever devised (U.S. National Park Service) https://www.nps.gov/[...] U.S. Department of the Interior 2023-02-18
[2] 서적 The M1903 Springfield Rifle https://books.google[...] Osprey Publishing 2013-02-20
[3] 잡지 L'armement français en A.F.N. http://fr.1001mags.c[...] 1992-03-01
[4] 서적 20th Century Military Uniforms Grange Books
[5] 서적 The Bay of Pigs: Cuba 1961 Osprey Publishing 2009-01-10
[6] 서적 Power Pack: U.S. Intervention in the Dominican Republic, 1965-1966 https://history.army[...] United States Army Command and General Staff College 1988-07-01
[7] 서적 Arab Armies of the Middle East Wars 1948–73 Osprey Publishing 1982-06-15
[8] 서적 Arab Armies of the Middle East Wars (2) https://archive.org/[...] Osprey Publishing 1988-03-24
[9] 서적 Provos The IRA & Sinn Féin Bloomsbury Publishing
[10] 서적 The M1 Garand https://books.google[...] Osprey
[11] 잡지 The Beretta "Type E" Garand, Variations on John Garand's Combat Proven M1 https://web.archive.[...] 2004-06-01
[12] 웹사이트 U.S. Department of the Army Technical Manual No. 9-1005-222-12 http://www.biggerham[...] 2007-05-18
[13] 뉴스 The M1 Garand rifle, what made it great? https://www.firearms[...] Firearms News 2021-04-15
[14] 문서 U.S. rifle, caliber .30, M1
[15] 서적 Military Small-Arms of the 20th Century Arms & Armour Press 1977-01-01
[16] 웹사이트 The Best Battle Implement Ever Devised https://www.nps.gov/[...] 2020-04-28
[17] 백과사전 Firearms St. James Press
[18] 웹사이트 History of the M1 Garand Rifle https://thegca.org/h[...] 2019-12-03
[19] 잡지 The M14 Rifle: John Garand's Final Legacy https://www.american[...] 2019-12-03
[20] 서적 The Book of the Garand Gun Room Press 1983-01-01
[21] 잡지 The Development of the Garand https://books.google[...] Armed Forces Information and Education Division, Office of the Secretary of Defense 2022-05-02
[22] 웹사이트 Garand Name Pronunciation: Who's Right? https://www.american[...] The National Rifle Association of America 2022-05-02
[23] 서적 A G.I. in The Ardennes: The Battle of the Bulge https://books.google[...] Pen and Sword Military 2020-02-28
[24] 서적 Rifles of the World Krause Publications
[25] 서적 Pedersen Fitzsimons
[26] 서적 Hatcher's Notebook Military Service Publishing Co. 1947-01-01
[27] 서적 Rifles of the World Krause Publications
[28] 백과사전 Garand Phoebus 1977-01-01
[29] 웹사이트 Military Firearms: M1 Garand Rifle http://www.olive-dra[...] 2008-10-03
[30] 잡지 The First Garands 2011-09-01
[31]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U.S. Army https://archive.org/[...] Greenwood Press
[32] 서적 Military Small Arms of the 20th Century Krause Publications 2000-02-10
[33] 서적 The Encyclopedia of Weapons of World War II Orbis Publishing Ltd
[34] 논문 Department of the Army Appropriations for 1954: Hearings, 83rd Congress, 1st Session United States Congress
[35] 잡지 Cold War Warrior 2015-11-01
[36] 웹사이트 Prints and Posters: The American Soldier, 1966 - by H. Charles McBarron http://www.history.a[...]
[37] 웹사이트 Hans Majestet Kongens Garde https://snl.no/Hans_[...] 2021-03-15
[38] 웹사이트 Modern Firearms: Rifle M1 Garand http://world.guns.ru[...] 2008-10-03
[39] 서적 U.S. Rifle, Caliber .30, M1 http://www.easy39th.[...] United State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51-10-01
[40] 웹사이트 M1 Garand Operations: Loading and Unloading http://www.surplusri[...] 2005-11-15
[41] 웹사이트 Field Stripping the M1 Garand http://www.civilianm[...] 2008-10-03
[42] 서적 U.S. Marine Rifleman 1939–45: Pacific Theater Osprey Publishing
[43] 잡지 History in your hands: Springfield Armory's new M1 Garand: the most significant rifle of the 20th Century is once again available to the American shooter 2002-10-01
[44] 웹사이트 Springfield Armory M1 Garand Operating Manual http://www.springfie[...] 2008-10-03
[45] 웹사이트 FM 23-5 http://www.biggerham[...] 2008-10-03
[46] 간행물 FM 23-100 Department of the Army 1943-01-01
[47] 서적 Shots Fired In Anger The Samworth Press 1948-01-01
[48] 서적 The Encyclopedia of Weapons of World War II Sterling Publishing
[49] 서적 Ordnance Went Up Front The Samworth Press
[50] 잡지 More On The "Ping" 2012-04-01
[51] 서적 The Complete Guide to the M1 Garand and the M1 Carbine Andrew Mowbray Publishers 1998-01-01
[52] Youtube SURROUNDED BY THE ENEMY: WWII Veteran Describes Fighting for Survival! https://www.youtube.[...] 2021-03-29
[53] 서적 The Encyclopedia of Weapons of World War II Sterling Publishing
[54] 잡지 Fitting the Army's Modern Garand Rifle https://books.google[...] Bonnier Corporation 1944-03-01
[55] 서적 The U.S. Army in World War II: The Pacific https://books.google[...] Osprey Publishing
[56] 웹사이트 M1 Accessories - Winter Trigger http://www.civilianm[...] 2002-01-01
[57] 웹사이트 Sniper Central: U.S. Army M1C & M1D http://www.snipercen[...] 2005-11-15
[58] 웹사이트 American Rifleman | Official Journal of the NRA | 'Tanker Garands': The Real Story https://www.american[...]
[59] 웹사이트 Lever-Action Rifle Resurgence & M1 Garand Rifle Facts https://hookandbarre[...] 2024-04-16
[60] 잡지 Better Late Than Never 2014-09-01
[61] 서적 Random Shots: Episodes In The Life Of A Weapons Developer Merriam Press 2008-01-01
[62] 웹사이트 The T35 side-loading Garand in 1951/52 Springfield... https://www.historic[...] 2016-02-05
[63] 웹사이트 Khyber Pakhtunkhwa Region Modified 8mm M1 Garand Rifles – Silah Report http://silahreport.c[...] 2020-02-07
[64] 웹사이트 "Japanese Garand" WWII Semi-Automatic Rifle http://www.nramuseum[...] NRA 2016-06-06
[65] 서적 Rifles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Krause Publications
[66] 서적 Direct Support and General Support Maintenance Manual, Including Repair Parts and Special Tools Lists, (Including Depot Maintenance, Repair Parts and Special Tools), Rifle, 7.62-MM, M14, W/E(1005- 589-1271), Rifle, 7.62-MM, M14A1, W/E(1005-072- 5011), Bipod, Rifle, M2(1005-711-6202) https://books.google[...] Department of the Army 1972-08-01
[67] 잡지 M14 vs. M16 in Vietnam http://www.smallarms[...] 2002-04-01
[68] 잡지 M14 Jane's Information Group 2003-01-01
[69] 웹사이트 Focus on Basics, Urges Small Arms Designer http://www.nationald[...] 2001-11-01
[70] 웹사이트 The Mini Grows Up—Again http://www.rifleshoo[...]
[71] 보도자료 GI's Best Friend Now In Limited Production As Collectors Item From Springfield Armory Springfield Armory Inc 2001-11-30
[72] 법규 USStatute 1996-02-10
[73] 웹사이트 Obama Administration Reverses Course, Forbids Sale of 850,000 Antique Rifles https://www.foxnews.[...] 2010-09-01
[74] 뉴스 정부, M1소총 8만7000여정 수출 추진…美 정부 동의 http://news.chosun.c[...] 2012-01-19
[75] 웹사이트 transporting history https://www.dla.mil/[...]
[76] 뉴스 Obama Offers New Executive Actions On Gun Control http://www.huffingto[...] 2013-08-29
[77] 서적 ATF Guidebook - Importation & Verification of Firearms, Ammunition, and Implements of War https://www.atf.gov/[...]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2001
[78] 간행물 The Financial Assessment of Military Small Arms http://www.robertank[...] 2000-04-01
[79] 웹사이트 Lot 1807: Springfield Armory National Match 1959 M1 Garand John F. Kennedy https://www.rockisla[...] 2015-09-11
[80] 웹사이트 Military rifle cartridges of Haiti. - Free Online Library https://www.thefreel[...] 2022-12-14
[81] 웹사이트 Uphold Democracy 1994: WWII weapons encountered https://wwiiafterwwi[...] 2022-12-14
[82] 서적 Rifles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Krause Publications
[83] 웹사이트 Scout Sniper Development - "An accurate shot to the future" http://marinecorps.m[...] Philippine Marine Corps 2001-11-01
[84] 웹사이트 The incumbent Director of Government Arsenal http://arsenal.mil.p[...]
[85] 웹사이트 Philippine CAFGU http://i391.photobuc[...]
[86] 웹사이트 Breaking: Civilian Marksmanship Program May Receive 86,000 M1 Garand Rifles from the Philippines http://www.thefirear[...] 2017-04-07
[87] 서적 Small Arms Survey 2011: Profiling the Problem http://www.smallarms[...] Oxford University Press
[88] 서적 陸上自衛隊パーフェクトガイド2008–2009 Gakken
[89] 웹사이트 THE M1 GARAND & THE COLD WAR https://www.thearmor[...] SPRINGFIELD ARMORY 2021-05-18
[90] 웹사이트 An Introduction to the National Revolutionary Martyrs' Shrine of R.O.C https://afrc.mnd.gov[...] Republic of China Armed Forces Reserve Command, All-Out Defense Mobilization Agency,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2024-06-17
[91] 웹사이트 M1 소총 https://kookbang.dem[...]
[92] Youtube [전쟁기념관×건들건들: 헌신의 도구] 제1편 국군의 손에 쥐어진 첫 무기, M1 소총 https://www.youtube.[...]
[93] 서적 Korean War : Weapons of the United Nations http://medcmd.mil.kr[...] Ministry of Defense Institute for Military History 2021-03-01
[94] 뉴스 SOUTH KOREAN WEAPONS SALES TO NORTHERN VA. FIRM PROBED https://www.washingt[...] 1988-01-08
[95] 웹사이트 국군과 31년 ‘동고동락’ M1, 1978년 ‘현역 은퇴’ https://kookbang.dem[...]
[96] 웹사이트 구형 M1·카빈소총 https://kookbang.dem[...]
[97] 웹사이트 [권홍우의 오늘의 경제소사]M-1 개런드 소총 https://www.sedaily.[...] 2016-02-16
[98] 웹사이트 Turkish Army in Korean War http://www.expoyeosu[...]
[99] 간행물 Cyprus: Round Two http://upload.wikime[...] 1974-08-23
[100] 웹사이트 Temmuz 1974: Kıbrıs Barış Harekatı http://img507.images[...]
[101] 웹사이트 Turkish Military High School ceremonial procession http://www.ibb.gov.t[...]
[102] 웹사이트 Deniz Harp Okulu'nda tören http://www.dho.edu.t[...]
[103] 웹사이트 Turkish Air Force guard at Anitkabir https://upload.wikim[...]
[104] 웹사이트 A Persian take on the M1 https://www.thefirea[...] 2016-10-27
[105] 서적 The Algerian War, 1954–62 Osprey Publishing
[106] 서적 Rifles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Krause Publications
[107] 서적 Die Bewaffnung des österreichischen Bundesheeres: 1918 - 1990 Weishaupt 1990
[108] 웹사이트 How Many Weapons Are There in Cambodia? http://www.smallarms[...] 2006-06-00
[109] 문서 Canadian Army EME Manuals; photographic evidence; book ''Without Warning'' by Clive Law.
[110] 서적 Small Arms of the World https://archive.org/[...] The Stackpole Company
[111] 잡지 Beretta's BM 59, The Ultimate Garand http://www.gunsmagaz[...]
[112] 잡지 Infantry Weapons of the Salvadoran Forces http://www.smallarms[...] 2000-05-00
[113] 서적 Manuel du Grade TTA 116 Berger-Levrault 1956-03-19
[114] 서적 Hand weapons: a reference work about the prey weapons of the Wehrmacht (1942) https://d-nb.info/98[...] Katalog der Deutschen Nationalbibliothek 2008
[115] 웹사이트 The military rifle cartridges of Honduras from Cortez to zelaya. - Free Online Library https://www.thefreel[...] 2022-12-14
[116] 서적 Armi e mezzi in dotazione all'esercito https://archive.org/[...] Ministero Della Difesa 1955
[117] 보고서 Enquête nationale sur les armes légères et de petit calibre en Côte d'Ivoire: les défis du contrôle des armes et de la lutte contre la violence armée avant la crise post-électorale http://www.smallarms[...] UNDP, Commission Nationale de Lutte contre la Prolifération et la Circulation Illicite des Armes Légères et de Petit Calibre and Small Arms Survey 2012-04-00
[118] 서적 Japanese Army of World War II Osprey Publishing
[119] 서적 Doe, the Man Behind the Image https://books.google[...] publisher not identified
[120] 잡지 Military rifle cartridges of the Netherlands: from Sumatra to Afghanistan https://www.thefreel[...] 2014-04-00
[121] 서적 Central American Wars 1959–89 Osprey Publishing
[122] 서적 Jane's Infantry Weapons 1995/1996 Jane's Information Group 1995-05-00
[123] 서적 North Vietnamese Army Soldier 1958–75 https://books.google[...] Osprey Publishing 2009-02-10
[124] 웹사이트 A Persian take on the M1 https://www.thefirea[...] 2016-10-27
[125] 뉴스 Another NPA arms cache unearthed in Samar https://www.pna.gov.[...] 2024-09-06
[126] 뉴스 16 NPA rebels yield, 2 killed in Caraga Region https://www.pna.gov.[...] 2024-09-17
[127] 잡지 Improvised Weapons of the Irish Underground (Ulster) http://www.smallarms[...] 2007-03-00
[128] 웹사이트 U.S. Springfield M1 Garand Semi Automatic Rifle http://www.nramuseum[...] NRA Museums
[129] 웹사이트 Garand Vs. Pedersen https://www.american[...] NRA 2009-06-17
[130] 웹사이트 The M1 Garand: Recent Developments in Auto Loaders https://www.american[...] NRA 2011-06-10
[131] 웹사이트 The Unknown M1 Garand https://www.american[...] NRA 2015-09-15
[132] 웹사이트 The En Bloc Clip: Don’t Blame John Garand https://www.american[...] NRA
[133] 웹사이트 History of the M1 Garand Rifle http://thegca.org/hi[...] Garand Collectors Association
[134] 웹사이트 RIFLE, MILITARY - U.S. RIFLE M1 .30 SN# 2723026 http://ww2.rediscov.[...] Springfield Armory Museum
[135] 웹사이트 The M1 Garand At Dieppe https://www.american[...] NRA
[136] 웹사이트 Garands In The King's­ Service https://www.american[...] NRA 2016-06-30
[137] 웹사이트 Post-World War II M1 Garand Rifles https://www.american[...] NRA 2016-05-17
[138] 웹사이트 The M14 Rifle: John Garand’s Final Legacy https://www.american[...] NRA 2016-04-28
[139] 웹사이트 The M1C Garand Sniper Rifle https://www.american[...] NRA 2014-08-29
[140] 웹사이트 M1E5: Folding Stock Garand Carbine http://www.historica[...] Historical Firearms
[141] 웹사이트 'Tanker Garands': The Real Story https://www.american[...] NRA 2020-10-27
[142] 웹사이트 RIFLE, MILITARY - U.S. RIFLE T26 .30 SN# 2291873 (AKA: "TANKER GARAND") http://ww2.rediscov.[...] Springfield Armory Museum 2017-03-23
[143] 웹사이트 7.62x51 mm NATO U.S. Navy Garand Rifles https://www.american[...] NRA 2017-03-23
[144] 서적 エリートフォーセス 陸上自衛隊編[Part1]
[145] 웹사이트 新しい「儀じょう銃」がお披露目 http://www.jwing.net[...] 航空新聞社WING 2019-05-23
[146] 웹사이트 the M1 Garand in Vietnam https://wwiiafterwwi[...] 2020-08-22
[147] 웹사이트 출처1, 출처2, 출처3(이미지) https://www.youtube.[...] 2018-08-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